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56]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7)

관리자 | 2025-02-06 | 조회 25

[네트워크 상식 56]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7)

 

라우팅 정보의 처리

라우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라우팅 정보가 네트워크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라우팅 정보 관리와 관련된 라우팅 처리

방법에는 소스 라우팅, 분산 라우팅, 중앙 라우팅, 계층 라우팅 등이 있다.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

 

패킷을 전송하는 호스트가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전달 경로를 스스로 결정하는

방식을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이라고 한다. 소스 라우팅을 지원하려면

송신 호스트의 라우팅 테이블에 패킷을 수신 호스트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송

경로 정보를 관리해야 하며, 이러한 경로 정보를 전송 패킷에 기록해야 한다.

중간 라우터에서는 전송 패킷에 포함된 경로 정보를 이용해 패킷을 중개함으로써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라우팅 방식은 모든

라우팅 정보를 송신 호스트가 관리하므로 중간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따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


소스 라우팅은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가상 회선 방식에서는 연결의 초기화 과정에서 경로 정보를 담은 특수 연결

패킷을 사용한다. 중간 라우터는 패킷의 경로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전달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그램 방식에서는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경로

정보가 들어가므로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산 라우팅(Distrebuted Routing)

 

라우팅의 정보가 분산되는 방식이다. 패킷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각 라우터가

효율적인 경로 선택에 참여하며,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많이 사용한다. 장점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호스트 수가 많아질수록 다른 방식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라우터가 관리하는 경로 정보는 다음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는데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는 동적 특징이 있다.

 

중앙 라우팅(Centralized Routing)

 

RCC(Routing Control Center)라는 특별한 호스트를 사용해 전송 경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패킷 전송을 원하는 송신 호스트는 반드시

RCC로부터 목적지 호스트까지 도착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미리 얻어야 한다.

이 정보를 이용해 송신 호스트는 소스 라우팅과 동일한 원리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중앙 라우팅의 장점은 경로 정보를 특정 호스트가 관리하기 때문에 다른 일반

호스트가 경로 정보를 관리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규모가 커짐에 따라 RCC에 과중한 트래픽을 주어 전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계층 라우팅(Hierarchical Routing)

 

분산 라우팅 기능과 중앙 라우팅 기능을 적절히 조합하는 방식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계층 형태로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규모가 계속

커지는 환경에 효과적이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