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59]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5-04-24 | 조회 5

[네트워크 상식 59]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라우팅

인터넷에는 수많은 호스트가 연결되므로 관리하는 라우팅 정보가 매우 많다.

그러다보니 이를 적절히 관리하여 효과적으로 라우팅하는 작업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 절에서는 다양한 라우팅 관련 프로토콜을 알아본다.

 

간단한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의미하는 거리 기준은 다양하지만, 라우팅과 관련해 가장 보편적

으로 이용하는 기준은 전송 경로의 중간에 위치하는 라우터의 개수,

즉 홉(Hop)의 수로 판단하는 것이다.

 

최단 경로 라우팅

​​​​​​​

 

최단 경로 라우팅 방식에서는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 거치는 라우터

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경로를 선택한다.

장점은 비교적 간단한 형식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 전송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여러 경로 중 가장 짧은 경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림의 경우에 호스트 a에서 호스트 g까지 도달하는 경로는

여러 개지만, 가장 짧은 경로는 라우터 c만을 거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호스트 a에서 호스트 d까지 도달하기 위한 최단 경로는 라우터

b나 c를 통과하는 것이다. 두 경로는 홉을 기준으로 하면 거리가 동일하다.


홉 수 외에 거리 기준이 될 수 있는 요소에는 패킷의 전송 지연 시간, 전송

대역폭, 통신 비용 등이 있다.

이들 요소를 개별적으로 적용하거나 적절한 비율로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플러딩

 

플러딩(Flooding)은 라우터가 자신에 입력된 패킷을 출력 가능한 모든 경로로

중개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원본 패킷과 동일한 패킷이 무수히 생성되고,

모든 경로를 통해 반복하므로 네트워크에 패킷이 무한 개 만들어질 수 있다.

패킷이 무한정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하려면 각 패킷의 홉 수를 일정 범위로

제한해 라우터에서 이를 확인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플러딩 방식의 라우팅은 많이 이용하지는 않고, 중요한 데이터를 모든 호스트에

동시에 전달하는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