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14]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3-12-13 | 조회 22

[네트워크 상식]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자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을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이라 하는데, 연결하는

네트워크 수가 증가할수록 복잡도가 커진다.

상기 그림에서 보듯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두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

하려면, 이를 적절히 연결하여 데이터를 중개할 수 있는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이 필요

하다.

네트워크가 연동한다는 의미는 물리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데이터 중개에 필요한 상위

통신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함을 뜻한다.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 두 네트워크는 물리적으로 같은 종류일 필요는 없다.

상위계층 프로토콜이 지원하는 논리적 기능이 달라도 된다, 하지만 인터네트워킹 시스템

은 양쪽 네트워크에 대한 서로 다른 물리적, 기능적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상기 그림에서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의 왼쪽은 네트워크1과 연동할 수 있고, 오른쪽은

네트워크2와 연동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데이터 표현 방식을 포함해

프로토콜이 다르면 필요한 변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렇게 인터네트워킹 시스템은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다.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Gateway)라 부른다.

게이트웨이는 기능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지만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등이 가장 일반

적인 구분이다.

 

리피터(Repeater)는 물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한다. 물리적 신호는 전송 거리가 멀면 감쇄되기 때문에 중간에 이를 보완해 주어야 한다. 리피터는 한쪽에서 입력된 신호를 물리적으로 단순히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중개하는 역할을 한다.

브리지(Bridge)는 리피터 기능에 데이터 링크계층의 기능이 추가된 게이트웨이다.

라우터(Router)는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게층,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해야 하므로 임의의 네트워크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어느 네트워크로 전달할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라우터는 자신과 연결된 네트워크와 호스트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함으로써, 어떤 경로를 이용할 수 있고, 어떤 경로를 이용해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런 판단을 위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라우팅 테이블(Routing Table)에 보관한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