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19] 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란

관리자 | 2023-12-13 | 조회 13

[네트워크 상식] 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란

 

이더넷 (Ethernet)의 물리적인 주소로서 이더넷 카드의 읽기용 기억장치(ROM)에 기록된

것으로서 주소 크기는 48비트인데, IEEE가 전반부 24비트를 벤더(vendor)에 할당하면,

벤더(Vendor)측은 후반부 24비트에 대해 세부 할당을 한다.

통신망 운용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모니터 초기 화면에는 각 기계의 이름이 미리 망

관리 인터페이스 카드에 할당되어 MAC 주소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만으로는 기계명을 분간하기 어려우므로 메뉴의 ‘캡처’로 ‘모든 이름의 검색’을 선택

MAC 주소를 기계명으로 변환해 둔다.

일반적으로 48비트의 길이이며, 통상 개인용 컴퓨터나 구내통신망(LAN) 기기의 LAN

접속구상의 ROM에 기입해 두고, MAC층 데이터 프레임의 머리부에는 송신처와 주소를

지정해서 사용한다.

 

참조문헌: ITS용어사전

 

MAC 주소는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다.

MAC 주소는 이더넷(Ethernet)과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대부분의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 내트워크 주소로 사용된다.

논리적으로 MAC 주소는 매체접근제어 프로토콜이라는 OSI 모델의 하위 계층에서

사용된다.

MAC 주소는 대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의 제조업체가 할당하며

하드웨어에 저장되는데, 이는 마치 카드의 읽기 전용 메모리(ROM)나 일부 다른

펌웨어 구조와 같다. 제조업체에 의해 할당되면 MAC 주소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의

등록된 식별번호로 인코딩되며 이를 BIA (burned in address)로 부를 수 있다.

또 이더넷 하드웨어 주소, 물리주소로 부르기도 한다.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Node)는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가질 수 있으며,

각 NIC는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진다. 멀티레이어 스위치,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

는 하나 이상의 영구적으로 할당된 MAC 주소가 필요할 수 있다.

 

참조문헌: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