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23] L2 스위치와 L3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4-01-24 | 조회 22

[네트워크 상식] L2 스위치와 L3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자

 

 

 

L2 스위치

네트워크 장비중 OSI Layer2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서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여러 장치들 간에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Frame)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1] MAC 주소 학습

L2 스위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의 MAC 주소를 학습하여 각 장치의

위치와 MAC 주소를 스위치의 MAC 주소 테이블에 저장한다.

[2] 포워딩(Forwarding)

스위치는 수신한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여, 해당 장치가 연결된

포트로 르레임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프레임은 정확한 장치로 전달되며, 다른

포트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3]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제어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수신하면, 이를 모든 포트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들에게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4] 스위칭 테이블

L2 스위치는 자체적으로 스위칭 테이블을 유지한다. 이 테이블은 포트와 MAC

주소간의 매핑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한다.

 

이러한 동작 원리를 통해 L2 스위치는 네트워크 내의 효율적인 통신과 충돌없는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L3 스위치

네트워크 장비중 OSI Layer3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서 L2 스위치의

기능을 갖추면서 동시에 라우터의 역할도 수행한다.

[1] 패킷 라우팅(Routing)

L3 스위치는 IP 주소를 사용하여 패킷(Packet)을 전달하는 라우팅 기능을 제공

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하거나 서브넷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2] VLAN 관리

L3 스위치는 가상 LAN을 관리하여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안, 트래픽 분리, 관리 용이성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3] 인터넷 게이트웨이(Gateway)

L3 스위치는 인터넷과의 연결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외부와 통신할 수 있으며,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4] 패킷 필터링(Filtering)

L3 스위치는 패킷을 필터링하여 특정 조건에 따라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고 트래픽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L3 스위치는 L2 스위치와 라우터의 장점을 결합하여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유연성

을 높여준다.

 

참조문헌: Ask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