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상식 39] SNM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4-07-11 | 조회 16
이동 호스트가 자신의 고유 주소를 유지하면서 인터넷 서비스를 받으려면 위치를 계속
이동하는 송수신 호스트 간의 데이터 라우팅 처리가 가장 중요하다.
이동 IP(Mobile IP) 프로토콜을 이해하려면 먼저 터널링(Tunneling) 원리를 알아야 한다.
터널링 원리를 이해라기 위해 육지와 섬을 거쳐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상기 그림에서 홍길동이라는 사람이 육지 a 지점에서 출발하여 섬에 위치한 목적지 d에
도착하려면 중간의 b와 c를거쳐야 한다. 이동시 육지에서는 버스를 이용하고, 바다에서는 배를 이용한다. 이때 버스와 배는 모두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하는 IP
프로토콜이라고 볼 수 있으며, 버스와 배에 실려서 이동하는 홍길동은 IP 프로토콜의
전송 데이터가 된다.
그림에서의 문제점은 출발지 a에서 목적지 d에 도착하는 과정에서 홍길동은 버스라는
IP 프로토콜에서 배라는 IP 프로토콜로 갈아타야 한다는 것이다. 즉 홍길동 스스로 IP
프로토콜을 교체하는 작업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한다.
IP 프로토콜 교체보다 문제를 간단히 해결하는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은 터널링 기능을 이용
하는 것이다. 터널링 방식을 사용하면 홍길동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버스만 이용하므로
네트워크 최종 사용자인 홍길동이 IP 프로토콜의 교체 과정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중간의 바다에서는 버스 회사가 배를 직접 처리하여 버스가 배를 타는 형태의 터널
기능을 지원한다. 결과적으로 홍길동은 출발지에서 버스를 타고, 도착지에서는 버스
에서 내리기만 하면 된다. 홍길동이 버스를 타고 내리는 중간 내내 잠을 자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배라는 프로토콜을 전혀 이해하지 못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그림에서 터널링 방식은 홍길동의 출발과 도착이 이루어지는 a와 d지점의 처리
방식이 맨 앞의 그림과 정확히 일치하며, 터널링이 필요한 지점의 추가 작업은 홍길동이
아닌 제삼자가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동 IP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터널링 관련
부분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는다.
상기 두 그림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인 배와 버스는 경로 문제를 처리하는 수단으로,
모두 IP 프로토콜로 간주할 수 있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