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49] H.265 코덱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4-10-29 | 조회 26

[네트워크 상식 49] H.265 코덱에 대해 알아보자

 

 

H.265는 High Efficiency Video Coding(HEVC) 또는 MPEG-H Part2로 알려진 기술

이다. MPEG과 ITU-T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비디오 코딩 표준으로 HEVC가

MPEG 표준의 일부는 아니지만 MPEG에서도 HEVC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H.265는 2013년에 개발된 코덱으로 H.264에 비해 더 높은 압축률을

보여서 더 적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반면, 4K, 8K 등의 초고해상도 동영상을

처리하는데 더 적합한 코덱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더 높은 압축률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영상의 처리에 좀 더 많은

프로세싱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적 코딩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도

하드웨어적 코딩이 필요할 수 있으며, 오래된 장치나 브라우저에서는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H.265의 장점

(장점1) 더 높은 압축률

H.264에 비해 더 높은 압축률을 보이는 H.265는 동일 비트율에서 더 나은

화질을 제공하거나, 동일 화질에서 더 낮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장점2) 고화질 지원

H.265는 초고해상도 지원에 더 적합하게 설계되어 4K를 넘어 8K 지원에

적합하다. H.264는 초기에는 8K를 지원하지 못하였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지원

가능해졌다. 그러나 용량 등의 문제로 8K 지원에는 H.265가 더 적합한 상황임.

(장점3) 개선된 움직임 추정 기술

H.264가 빠른 움직임의 경우 계단형상으로 프레임이 깨져 보였던 것에 비해

H.265는 더 개선된 움직임 추정 기술로 프레임이 깨지는 현상이 덜함.

(장점4) 더 낟은 대역폭

  앞서 언급한 더 높은 압축률로 인해 대역폭이 제한된 경우에도 사용 가능

 

H.265의 문제점

위와 같은 장점과 반대로 H.265는 H.264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률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인코딩과 디코딩의 높은 연산 능력이 필요하여 높은 사양의 장치가 필요하며,

아직 H.265를 지원하지 않는 기기나 소프트웨어가 많다. 또한 많은 연산량에

의헤 배터리 소모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H.264와 H.265의 비교

참조문헌: 블로그 IT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