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상식 50]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4-11-15 | 조회 15
[네트워크 상식 50] IP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 기사에서 IPv4, IPv6등의 개념, 일부 프로토콜, OSI 참조모델 등에 대해
단편적인 개념들을 알아보았다. 그러한 단편적 개념들을 모아 IP 프로토콜에 대해
좀 더 지식의 확장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기사를 쓰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재 기사를 쓰는 목적은 우리가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라우팅 기능과 관련 프로토콜을 알아보며, 혼잡제어 기능을 이해하고
IP 프로토콜 헤더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 연재기사가 끝날 때쯤 이 기사를 읽는 모든 독자가 IP 프로토콜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을 갖게 되길 희망해 보며 첫 글을 쓰고자 한다.
IP 프로토콜의 연재기사를 들어가며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적 전송 선로로 연결한 두 호스트 간의 전송 오류 문제를
다룬다. 즉, 프레임 전송 과정에서 프레임 분실이나 변형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지
검사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이를 복구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전송 데이터인 패킷을 목적지까지 올바른 경로로 전달하도록
한다. 패킷은 최종 목적지까지 전달되는 중간에 라우터들을 거친다.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터를 거치는 동안 패킷이 적절한 경로를 선택해 전달되도록 하는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적절한 경로로 전송하려면 네트워크 계층에서
네트워크의 연결 구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네트워크 계층의 또 다른 역할은 네트워크의 특정 경로로 트래픽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정 경로에 혼잡이 발생하면 네트워크의 전체 성능이
떨어지므로 올바른 경로를 선택해 특정 지역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성이 다른 네트워크끼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네트워킹 기능도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 중 하나다.
참조문헌: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