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11] 근거리 통신망 LAN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3-12-13 | 조회 19

[네트워크 상식] 근거리 통신망 LAN에 대해 알아보자

□ LAN (Local Area Network)의 정의

- 다수의 독립된 컴퓨터 기기들이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 단일 기관의 소유로 300m~3km 정도의 지역으로 한정

 

□ LAN 연결 형상(Topology)에 따른 분류

 

□ BUS 연결 형상(Topology)의 장점 및 단점

[장점]

● 모든 Node들은 간선을 공유하며 버스 T자형으로 연결

● 간선과 각 단말 장치와의 접속은 간단한 접속장치를 붙이는 것으로 가능

● 단말 장치의 추가와 제거가 매우 용이

● 단말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주지 않아 신뢰성이 높음

● 가장 적은 양의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비용이 적게 듦                      

 

[단점]

● 장애시 발생지의 위치 추적이 어려움

● 버스의 연결 부위나 종단 장치에 문제가 발생시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됨

● 연결된 단말 장치의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됨

● 거리 제약이 심함                 

 

□ LAN의 기술구분

 - 물리 매체 및 속도에 따라 이더넷, 토큰 링, FDDI, ATM으로 분류

 - 이더넷(Ethernet)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고 사실상의 범용 기술

 - 토큰링 기술은 사용권한이 있는 컴퓨터만 송신 가능한 방식, IBM 개발

 - 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기술은 음성, 동영상 등의 지원 어려움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기술은 회선교환+패킷교환의 복합기술

 

□ 이더넷 (Ethernet)의 정의

- 하나의 인터넷 회선에 다수의 시스템이 랜선 및 통신포트에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

 -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 일반적으로 비차폐 연선 또는 동축케이블 사용하며, 버스 형상으로 망을 구성

 - 매체의 종류와 배선방식, 지원속도에 따라 보편적인 시스템은 10BASE-T,

   100BASE-T. 1000BASE-T등으로 구분함

 

□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on Detection) 프로토콜

 - 캐리어가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감지해서

 -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아무도 통신을 안 한다면,

 - 전송할 데이터를 실어서 내보내는 것

- 만약, 충돌이 일어나게 되면 데이터를 전송했던 두 컴퓨터는 랜덤한 시간동안

기다린 다음 다시 전송

 - 이런 충돌이 계속해서 15번 일어나면 통신을 끊는다.

 

□ LAN의 매체접근제어(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발전

 - 임의의 노드가 전송 매체를 엑세스하는데에 따른 상호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기술

 -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해 인식하는 방법은 MAC 주소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