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34] HTTP와 WWW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4-05-17 | 조회 19

[네트워크 상식] HTTP와 WWW에 대해 알아보자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인터넷에서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한다.

 

HTTP의 개요

안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규약이다.

하이퍼텍스트는 문서 중간중간에 특정 키워드를 두고 문자나 그림을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문서라 할지라도 하나의 문서인 것처럼 보이면서

참조하기 쉽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http는 1989년 팀 버너스리(Tim Berners Lee)에 의하여 처음 설계되어 인터넷을 통한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기반에서 전 세계적인 정보공유를 이루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http의 첫번째 버전은 인터넷을 통하여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순한 프로토콜이었으나, 데이터에 대한 전송과 요구.응답에 대한 수정 등 가공된 정보

를 포함하는 프로토콜로 개선되었다.

 

인터넷 주소를 지정할 때 http://www....와 같이 하는 것은 www로 시작되는 인터넷 주소

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의 교환을 http 통신규약으로 처리하라는 뜻이다.

 

 

World Wide Web의 개요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고안된 방법 또는 세계적인 인터넷망으로서

유럽입자물리연구소에서 얻어지는 엄청난 양의 연구결과 및 자료의 효율적인 공유를

목적으로 1989년3월 Tim Bernes Lee의 제안으로 연구가 시작되어 개발되었으며, www

개발 이후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이는 메뉴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던 기존의

인터넷 서비스에 견줘 하이퍼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웹은 문서 활용에 엄청난

편리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첫째, 일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들 수 있다.

기존의 인터넷 사용 도구의 단점이라면 사용하기가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각종

인터넷 이용 도구마다 그 사용법이 다르다는 것이다. 반면에 웹은 인터넷상에서 제공

되는 많은 서비스의 통합된 접속도구의 역할을 하여 기존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제공

한다.

 

둘째, 문서는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단어에 대해 관련된 다른 문서를

지정하는 포인터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하여 한 정보와 연결된 다른

자세한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셋째, 인터넷상에서 생겨나는 가상의 조직체나 공동체에서 능동적 참여를 꾀할 수 있다.

웹 이전의 인터넷은 사용자들에게 단지 방대한 데이터의 창고 역할을 하는 것으로만

생각되었다. 아울러 서비스는 정보제공자(연구소, 학교, 기업 등)만이 하는 것이고,

자신들은 단지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그러나 웹의 보급으로

자신의 홈페이지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홈페이지에 자신의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웹은 인터넷에서의 분산된 정보의 저장소 역할을 한다.

웹 이전의 인터넷은 중앙 집중식 서비스였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모든 데이터가

집중됨으로 말미암아 서버의 부담이 증가하고,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서버에 접근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웹은 각종 정보들이 기본적으로 분산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보 제공 서버의 과중한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웹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일반 텍스트 형태의 문서, 그림, 음성, 그리고 동화상

등의 각종 자료들을 인터넷 주소(URL)를 이용해서 하나의 문서 형태로 통합적으로 관리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참조문헌: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