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네트워크 상식 35]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관리자 | 2024-05-20 | 조회 17

[네트워크 상식]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BGP (Border Gateway Protocol)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된다. BGP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자율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라우터가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종류가 다른 환경에서 동작하는 라우터를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Gateway)라고 한다.

BGP는 TCP를 이용해 메시지를 교환한다.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메시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Open : 다른 라우터와의 연관(Relationship)을 설정한다.
  • Update : 라우팅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 KeepAlive : Open 메시지에 대한 응답 기능과 주변 라우터와의 연관을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 Notification : 오류 상태를 통보한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벡터(Distance-Vector) 라우팅 중 가장 오래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로, UDP/IP

상에서 동작한다.

인터넷 상의 자율시스템(Autonomous System) 내에서 라우팅을 수행하는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로 사용된다. RIP는 경유할 수 있는 모든 라우터를 그 라우터까지 거치게 되는

라우터의 수를 나타내는 홉(hop) 수로 수치화 하고,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수치화

값(메트릭, metric)들을 동적으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한다. 라우팅 테이블은 목적

네트워크 주소, 다음 홉의 IP 주소, 목적 네트워크까지의 홉 수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유효 경로를 저장하고 있다. RIP는 이와 같이 인접 호스트와 동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며

패킷이 목적 네트워크 주소에 도달할 때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한다. 또한 유효 경로를

2개까지 채용하여 동일한 홉 경로가 있는 경우 우선 경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취한다.

경로 계산 알고리즘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라우터에 걸리는 부하가 적으며, 성능이 낮은

라우터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다른 라우터와 정보 교환을 할 때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라우팅 테이블 전송을 위해 트래픽 부하가 늘어나기 쉬우며, 지원 가능한

최대 홉 수가 15개이기 때문에 16개부터는 지원 불가능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이

부적절하다. 또한 고정된 시간마다 라우팅 테이블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상태 변화가 실제

네트워크 변화에 비해 느릴 수 있다.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RIP(경로 선택 정보 프로토콜)의 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가지게 한 것으로,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프로토콜 표준 후보의 하나. 인터넷 망에서 이용자가 최단 경로를

선정할 수 있도록 라우팅 정보에 노드 간의 거리 정보, 링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합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IGRP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미국 시스코사가 개발한 자율시스템 내의 경로지정 통신규약으로 자율시스템 내에서는

경로 지정 정보 프로토콜(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

나 내부 경로 제어 통신 규약(IGRP)은 경로 지정 정보 프로토콜(RIP) 보다 대규모로 복잡

한 통신망에서의 운용을 상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다. 거리.벡터 라우팅 알고리즘 (Dis-

Tance Vector Routing Algorithm)을 채용하여 목적 통신망까지의 경로는 지연, 회선의

대역폭, 신뢰성 및 부하를 고려해서 결정한다. 통신망 관리자는 이들 매개 변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EIGRP (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미국 시스코사가 개발한 자율 시스템 내의 경로 제어 통신 규약으로 시스코사에서

개발한 내부 경로 제어 통신 규약(IGRP) 기능을 확장한 것으로 거리.벡터 라우팅

알고리즘과 링크 상태 라우팅 알고리즘을 채용하고 있다. IGRP와 비교해서 VLSM(

Variable Length Subnet Mask)에 관한 경로 정하기 기능이나 애플토크(Apple Talk), 망간

패킷 교환(IPX)의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강화하였으며 IGRP와 EIGRP 라우터는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공존할 수 있다.

 

참조문헌: 두산백과, IT용어사전